중간관리자
정의 : 최고 관리자와 현장감독자의 중간에 위치하여 직능부문의 운영 에 대한 책임을 맡는 관리자로 운영 및 업무를 통제하기 위해 직원을 지 도·감독하는 사람이다.
문제제기 : 주권적 주체인 직원을 관리하는 것을 지양하고, 조직 구성 원 간 수평적 관계에서의 역할을 나타내는 의미를 포함하고자 ‘중간리더’ 로 대체한다.
[용어설명문] 중간관리자
1. 현재 활용
가) 시대적 정의
(1) 1940년대
① Niles(1949) : 중간관리자의 일반적 역할을 법령, 규칙, 정책 등의 범위 내에서 위양된 일상적, 규칙적, 특별정책업무의 처리를 구체적으로 감독 하고 지시하고 통제하는 직업적, 기술적 기능으로 분류하고 있다.
(2) 1980년대
① J.H.Donelly et al(1987) : 중간관리계층은 최고관리계층과 하급관리계 층의 중간에 위치하면서 최고관리계층에서 결정된 내용을 각각의 소관 부문에서 더욱 구체화시키면서 그 부문에 대한 포괄적 관리를 수행한다. 즉, 관리자들은 조직 및 과업을 관리하기위해서는 고전적 접근에 기초한 정보에 우선 의존하지 않으면 안된다. 또 사람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행 태적 정보를 필요로 한다. 운영을 통제하기 위해서는 관리과학적 관점을 갖고 있어야만 한다.
② Henry Mintzberg(1989) : 중간관리자란 조직의 구조상 전략적 정점과 운영핵사이에 위치하는 직위를 점유하고 있는 조직의 구성원들이다.¹
③ 박태량(1985) : 사회복지관 중간관리자들은 슈퍼바이저의 역할로서 실무자들은 지지하고 격려하며, 새로운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 유능한 중간관리자는 이론적으로 약한 부분을 지적하고 기술적 미약함을 보완 해주고, 관심과 이해를 보여줌으로써 신임직원에게는 전문가로서 모범이 되며 타기관에서 온 경력직원에게는 교량적 역할을 한다.²
나) 성민 활용
제3조(직제)³
① 복지관의 직제는 다음과 같다.
1. 관장 : 법인 이사회의 인준을 받은 후 임명되며, 본 복지관의 대표자로 사업실무의 총책임자가 된다.
2. 부장 : 관장을 보좌하며, 복지관의 예산, 사업, 지원관리를 계획하고 집행한다.
3. 팀장(과장) : 부장을 보좌하며, 부서 내 직원을 지도감독하고 업무를 조정하며, 부서특성에 따른 실무를 총괄한다.
4. 담당 : 각자의 업무에 1차적 책임을 지며, 부여된 업무를 능동적으로 진행시킨다. 업무의 특성에 따라 강사와 자원봉사자 등의 지원 인력을 둘 수 있다.
② 복지관은 필요에 따라 부관장을 둘 수 있으며, 각 부서에 대리(주임) 등의 직급을 둘 수 있다.
¹ 전원보 <행정조직에서의 중간관리자의 역할>, 東義大學校 法政硏究所 , 1999,p.4~p.6
² 박태량, <사회복지관 중간관리자의 업무수행에 관한 연구>,東義大學校 法政硏究所, 1985, p.5~p.7
³ 성민종합사회복지관 운영규정 중 「조직 및 업무분장 규정」
[사전적 정의] 1. 중간관리자(中間管理者)(Middle manager) ① 최고 관리자와 현장감독자의 중간에 위치하여 직능부문의 운 영에 대한 책임을 맡는 관리자로 운영 및 업무를 통제하기 위해 직원을 지도·감독하는 사람. 2. 관리자(manager) ① [국어사전]⁴ 소유자로부터 위탁을 받아 시설을 관리하는 자 ② [영어사전] 관리인, 매니저, 감독, 경영자, 부장
[사용의 예] → 중간관리자 회의, 중간관리자 연수
⁴위키피디아
|
2. 문제제기
‘관리자’는 위계적이고 직원을 통제하고 감독하는 사람이라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본 기관에서는 주권적 주체인 직원을 관리하는 것을 지 양한다.
3. 우리의 지향(담고자 하는 의미)
주권적 주체인 직원을 관리하는 것을 지양하고, 조직 구성원 간 수평 적 관계에서의 역할을 나타내는 의미를 담는다.
4. 결과
현장 업무와 사회복지사들의 업무를 조율하고 조정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중간리더’로 대체한다.
예) 중간관리자의 핵심역량은 직원 관리입니다.
→ 중간리더의 핵심역량은 사람관계의 역량과 업무관리의 역량이다
출처. 성민복지용어사전(문제제기 용어 > 중간관리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