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레미
지자체의 건물을 법인에서 위탁받아 거주시설을 운영하고 있다면, 안전하지 않은 시설을 위탁한 지자체에 정식으로 민원을 넣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하지만 아무래도 상당수의 거주시설은 법인 자체건물로 운영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오히려 법인에서 자체적으로 문제해결 방안을 찾아야 할 수도 있습니다.
현재 서울시에서 탈시설을 강력하게 추진하고 있기 때문에 법인 땅에 거주시설 신축을 승인해주기가 쉽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대안으로는 서울시에 시설 거주인을 통한 민원을 지속적으로 제기함으로써 조금이라도 협의가 가능할 수 있도록 만들어보는 것도 한 방법입니다.
또한 탈시설을 강력하게 추진하던 분(이전 시장)이 바뀌었기 때문에 앞으로의 장애인정책방향이 바뀔 수도 있으니, 법인차원에서의 대응도 필요해 보입니다.
하지만 아무래도 상당수의 거주시설은 법인 자체건물로 운영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오히려 법인에서 자체적으로 문제해결 방안을 찾아야 할 수도 있습니다.
현재 서울시에서 탈시설을 강력하게 추진하고 있기 때문에 법인 땅에 거주시설 신축을 승인해주기가 쉽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대안으로는 서울시에 시설 거주인을 통한 민원을 지속적으로 제기함으로써 조금이라도 협의가 가능할 수 있도록 만들어보는 것도 한 방법입니다.
또한 탈시설을 강력하게 추진하던 분(이전 시장)이 바뀌었기 때문에 앞으로의 장애인정책방향이 바뀔 수도 있으니, 법인차원에서의 대응도 필요해 보입니다.
2022-08-02 15:27
조르바
1. 책임 문제를 물을것 같아 걱정이 된다면 해당 구청에 안전문제 민원을 넣으시면서 시설 자체적으로 현 상황에서 취할수 있는 안전대책도 같이 문의하세요. 정기적으로 민원을 넣으세요. 나중에 사고나면 근거자료로 제출 됩니다. 우린 안전을 위해 이렇게 조치해주길 바라고 방법도 문의하였으나 안전관리 책임이 있는 구청에서 깔아 뭉겠다. 우리 책임이 아니다.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2. 좋지 않은 소식이지만 아마 요새 탈 시설화로 구청 장애인담당이나 시설 담당은 시설 폐지를 고려하고 있을지도 모릅니다. 건물이 낡았다는 핑계로 이용자 타 시설 전원시키거나 사회재복귀 시키고 탈시설화 점수 받으려 하겠죠. 그러니 확실하게 시설 보강 공사에 대한 확실한 계획도 같이 문의하세요.
3. 선생님 혼자서 대응하기보단 기관 차원에서 대응이 필요해 보입니다. 시설 이용자들 보호자들의 도움을 받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되겠지요.
2. 좋지 않은 소식이지만 아마 요새 탈 시설화로 구청 장애인담당이나 시설 담당은 시설 폐지를 고려하고 있을지도 모릅니다. 건물이 낡았다는 핑계로 이용자 타 시설 전원시키거나 사회재복귀 시키고 탈시설화 점수 받으려 하겠죠. 그러니 확실하게 시설 보강 공사에 대한 확실한 계획도 같이 문의하세요.
3. 선생님 혼자서 대응하기보단 기관 차원에서 대응이 필요해 보입니다. 시설 이용자들 보호자들의 도움을 받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되겠지요.
2022-08-02 08:47